보조지표

쉽게 배우는 보조 지표 : MACD

김휘중 2023. 2. 7. 16:18

주식, 선물투자에서 가장 큰 수익을 낼 수 있는 매매 기법은 저점과 고점에 매수 혹은 매도를 하는 것입니다.

정확한 저점과 고점을 잡아내기란 쉽지 않기 때문에 우리는 보조지표를 이용하기도 하는데, 많은 사람들이 이러한 고점과 저점을 잡아내기 위해 MACD 라는 보조지표를 이용합니다.

1. MACD 란?

MACD(Moving Average Convergence Divergence)는 이동 평균선의 치명적인 단점인 시차 문제를 보완하기 위해 제럴드 아펠(Gerald Appel)에 의해 개발된 지표입니다.

단기 지수 이동평균값과 장기 지수 이동평균값의 차이를 이용한 지표로 이 지표는 두 이동평균선이 멀어지게 되면 다시 가까워지려고 하는 속성을 이용해 이동평균선보다 빠르게 데드크로스와 골든크로스를 그리기 때문에 매매 타점을 잡기에 용이합니다.

2. MACD 의 구성요소

MACD선은 12일 지수 이동평균값에서 26일 지수 이동평균값을 뺀 값을 나타내며

시그널선은 MACD의 9일 지수 이동평균값을 마지막으로 오실레이터는 MACD 값에서 시그널 값을 뺀 값으로 구성됩니다.

3. MACD를 활용한 매매 방법

MACD가 이동 평균선의 단점을 보완한 보조지표라곤 하지만 후행성 보조지표의 한계로 macd 한 가지만으로 매매를 하기에는 무리가 있습니다. 하지만 많은 투자자들이 이용하고 있는 보조지표이므로 자신만의 매매 기법에 접목 시킬 수 있다면 보다 좋은 결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ㄱ. MACD 선과 시그널선의 교차

MACD를 이용하는 가장 기본적인 방법으로 MACD선이 시그널 선을 아래에서 위로 상향돌파 할 때는 주가의 상승을 의미하며 반대로 MACD선이 시그널 선을 위에서 아래로 하향 돌파할 때는 주가의 하락을 의미해 각각 매수와 매도 포지션을 취할 수 있습니다.

ㄴ. 다이버전스(divergence) 활용

주가의 움직임과 MACD의 움직임의 방향이 서로 다를 경우 나타나는 현상으로 강력한 추세 전환을 의미합니다. 위 사진과 같이 MACD지표는 데드크로스 이후 하락을 보이고 있지만 주가는 고점을 갱신하며 상승세를 보이는 경우 하락 추세로의 전환을 대비한 매도 타이밍을 잡을 수 있습니다.

반대의 경우로 MACD는 골든크로스 이후 상승을 보이고 있지만 주가는 계속 저점을 갱신하는 경우엔 상승 다이버전스를 대비한 매수 타이밍을 잡을 수 있습니다.

ㄷ. MACD 오실레이터(Oscillator)

MACD 오실레이터의 값이 0선을 돌파할 때 추세 전환이 임박했다는 중요한 신호로 인식합니다. 아래에서 위로 상향돌파 할 때는 주가가 상승세로 접어들 것을 뜻하며 반대로 위에서 아래로 하향돌파 할 때는 주가가 하락세로 접어들 것을 뜻합니다.

MACD에도 약점은 있습니다. MACD는 이동평균선에 비하여 빠르게 신호를 주지만 이것이 되레 약점으로 작용하기도 합니다. 너무 빠르기 때문에 주가가 살짝만 움직이더라도 불안정한 매매 신호를 나타낸다는 점이기 때문에 MACD만을 맹신해 매매하는 것은 위험합니다 .

사진을 클릭하면 카카오톡 오픈 채팅방으로 이동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