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이나 선물 투자시 정확한 진입 타점을 잡는 것은 누구에게나 어려운 일입니다. 정확한 진입 타점이란 없지만 보다 수월하게 매매 타점을 잡기 위해 우리는 볼린저 밴드와 같은 보조지표를 투자에 활용합니다.
볼린저 밴드는 이동 평균선을 이용하는 가격대 분석이라는 측면에서 이동평균선과 비슷하지만 가격 변동성 분석과 추세 분석을 동시에 한다는 점에서 이동평균선보다는 발전된 개념의 보조지표입니다.
볼린저 밴드내에 다음 캔들이 생성될 가능성은 95% 가량으로 다음 캔들이 생성될 수 있는 대략적인 위치를 파악할 수 있어 주가의 추세를 판단하는데에 용이합니다.
1. 볼린저 밴드란?
미국의 투자 전문가 존 볼린저(John Bollinger)가 자신의 경험을 바탕으로 개발한 기법으로 주가의 이동평균선을 중심으로 일정한 범위(표준편차) 안에서 움직인다는 것을 전제로 주가의 상대적인 위치를 측정할 수 있습니다.
2. 볼린저 밴드의 구성요소
볼린저 밴드는 중심선, 상한선, 하한선 총 세개의 선으로 구성되며 중심선은 20일 이동평균선으로 단기, 중기적인 주가의 추세를 나타냅니다. 상단선과 하단선은 중심선과의 표준편차 (일반적으론 2로 설정됨)로 계산할 수 있으며 상단선은 저항을. 하단선은 지지의 역할을 합니다.
3. 볼린저 밴드를 활용한 매매 방법
보조지표는 그저 보조지표일 뿐 볼린저밴드 한 가지만으로 매매를 하기에는 무리가 있지만 가장 기본적이며 가장 많은 투자자들이 이용하고 있는 보조지표이므로 자신만의 매매 기법에 접목 시킬 수 있다면 보다 좋은 투자 결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ㄱ. 볼린저밴드의 폭이 좁아지면 횡보를 하고 있다는 뜻으로 주가가 급상승 혹은 급하락과 동시에 추세가 전환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 횡보기간이 길어질 수록 주가가 움직이는 방향대로 매매하는 것이 유리합니다.
ㄴ. 횡보하던 주가가 상한선이나 하한선을 이탈한다면 그 방향으로 매매합니다. 극도로 볼린저밴드가 좁아진 상태에서 이탈을 하게되면 이는 큰 추세를 나타낼 확률이 높습니다.
ㄷ. 가장 기본적인 방식으로 횡보를 하고 있는 상황에서는 하한선에서 매수를. 상한선에서 매도를 기본으로 하며 중심선을 상향 돌파할 경우 매수. 반대로 하향 돌파시엔 매도 포지션을 진입합니다.
볼린저밴드의 폭이 얼마나 벌어져있는가에 따라 진입 관점이 달라집니다. 단순하게 볼린저 밴드의 폭이 넓어지면 주가 변동성이 크며 볼린저밴드 폭이 좁아지면 주가가 횡보합니다.
'보조지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쉽게 배우는 보조 지표 : RSI(Relative Stength Index) (0) | 2023.02.09 |
---|---|
쉽게 배우는 보조 지표 : MACD (0) | 2023.02.07 |